역외 선물환(NDF, Non-Deliverable Forward) 시장은 실제로 통화를 주고받지 않고, 차액만 결제하는 방식의 선물환 계약입니다. 다른 말로 역외 차액결제선물환 또는 역외NDF 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간단히 요약 설명하면 “외환 통제가 있는 국가 통화를 대상으로, 실제 통화 이동 없이 달러 등으로 차액만 결제하는 선물환 거래” 입니다.
1) NDF에 대해 알아보기
NDF란?
특정 통화(보통 환율 규제가 있는 나라의 통화)를 대상으로 미래의 특정 시점에 미리 정해진 환율로 거래하기로 약정하지만,
실제 통화(예: 위안화, 원화 등)를 주고받지 않고, 계약 시점의 환율과 실제 결제 시점 환율 간 차이만을 USD 같은 경화(硬貨, hard currency)로 정산하는 구조입니다.
NDF는 왜 생겼을까?
외환 통제가 있는 나라(예: 중국, 인도, 한국 등)에서는 자유롭게 외환 거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해외 투자자들이 환 리스크를 헷지하거나 투기 목적으로 만들었습니다.
NDF는 어떻게 거래가 이루어지나요? 거래방식
예를 들어, 한국 원화 NDF 계약을 맺으면, 실제 원화를 주고받지 않고, 계약 시점에 약정한 환율과 결제 시점의 실제 환율 차이에 따라 미국 달러($, USD)로 손익을 정산합니다.
NDF의 주요 거래 통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국 위안화(CNH)
- 한국 원화(KRW)
- 인도 루피(INR)
- 브라질 헤알(BRL)
- 러시아 루블(RUB)
그리고 주요 거래 시장으로 싱가포르, 런던, 뉴욕 같은 글로벌 금융 허브에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특히 한국 원화 NDF 시장은 싱가포르가 중심지입니다.
2) NDF에 대해 예시로 좀 더 쉽게 이해해보기
아직 NDF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되는지 잘 이해가 안되신다구요? 네 조금은 생소하고 어려운 개념일 수 있어서 예시로 좀 더 쉽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상황
홍콩에 있는 한 외국계 펀드 매니저가 앞으로 한국 원화 가치가 하락할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한국은 외환 규제가 있어서 쉽게 원화를 사거나 팔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 펀드 매니저는 KRW/USD NDF 계약을 맺습니다.
오늘(계약일) 기준으로 1달러 = 1,300원이라고 약속합니다. (NDF 계약 환율)
한 달 뒤(결제일)에 실제 시장 환율을 비교해서 차액만 달러로 정산합니다.
한 달 뒤 실제 환율이 만약 ‘1달러 = 1,350원’으로 올랐다면?
→ 원화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1달러를 사려면 더 많은 원화가 필요)
→ 펀드 매니저는 이익을 봅니다.
정산 방식은 이렇습니다:
수익 = (결제일 환율 − 계약 환율) × 계약 금액
예를 들어,
계약 금액이 100만 달러였다면:
(1,350 − 1,300) × 100만 = 5,000만원
5,000만 원 차익을 달러로 환산해서 받게 됩니다. (원화를 실제로 주고받지는 않습니다.)
3) NDF의 운영시간은?
거의 24시간 거래: NDF는 특정 거래소에 상장된 게 아니라, 글로벌 은행과 기관들 간에 장외(OTC, Over-the-Counter)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고 있습니다.
즉 특정 “운영 시간”이란 것이 없고, 주로 글로벌 금융 시장(런던, 뉴욕, 싱가포르) 시간대를 따라 돌아가기 때문에 글로벌 주요 시장이 열려 있는 동안 거의 쉬지 않고 거래가 됩니다. 그래도 주식시장과 동일하게 글로벌 주요 금융 시장 국가의 주말(토, 일)에는 휴장합니다.
실제 NDF의 거래 흐름은 아래와 같이 돌아가고 있습니다.
시간대 (한국 기준) | 주요 시장 | 특징 |
오전 7시 ~ 오후 3시 | 아시아 시장 (특히 싱가포르) | 한국 관련 NDF 거래량이 가장 많음 |
오후 3시 ~ 밤 11시 | 유럽 시장 (런던) | 거래가 이어지지만 약간 줄어듦 |
밤 11시 ~ 다음날 오전 7시 | 미국 시장 (뉴욕) | 다시 거래 활발, 특히 환율 급등락 가능성 |
그래서 야간(특히 새벽) 시간대에 한국 원화 NDF 환율이 크게 변동하면, 다음 날 국내 환율 시장(서울 외환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다시 간단히 정리하면!
한국 공휴일이라고 해서 NDF 거래가 자동으로 쉬지는 않습니다.
➔ 한국은 쉬어도 싱가포르, 뉴욕이 열려 있으면 거래는 계속 됩니다.
➔ 다만, 한국 이슈(예: 금리 인상/인하, 대규모 정치 이벤트) 같은 게 있을 때는 한국 시장 휴장 중에도 NDF 환율이 크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공휴일에는 거래량이 급격히 줄거나, 거의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미국 공휴일 – 예를 들어 Thanksgiving, Christmas, New Year’s Day 등)